본문 바로가기

IT 이야기

무료 화면 녹화 프로그램 OBS Studio 설치 & 주요 설정

반응형

 화면 녹화 프로그램 OBS Studio 설치 / 다운로드 방법 

1. 아래 링크된 주소의 OBS 공식 사이트를 방문하여 OBS Studio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를 해준다.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OS 버전에 맞게 설치 파일을 받으시면 됩니다.

https://obsproject.com/ko

 

Open Broadcaster Software | OBS

영상 녹화와 실시간 방송을 할 수 있는 무료 및 공개 소프트웨어입니다. 윈도우, 맥 혹은 리눅스 환경에서 빠르고 쉽게 방송 할 수 있습니다.

obsproject.com

 

2. 처음화면 상단의 파일 - 설정 - 방송 탭에서 자신이 방송을 송출할 플랫폼을 선택해줍니다.

3. 플랫폼을 선택 후 스트림 키를 가져옵니다. 트위치를 예로 들었을 때 스트림 키 "(링크)" 를 눌러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직접 트위치 스트리머 대시보드에 접속해줍니다.

4. 트위치 스트리머 대시보드 접속 방법 : 트위치 접속 - 우측 상단 아이콘 클릭 - 스트리머 대시보드 - 설정, 방송
스트리머 대시보드에 접속 후 기본 방송 암호 키를 복사해줍니다.
*기본 방송 암호 키를 초기화시키면 새롭게 할당된 키를 OBS에 적용해 주어야 합니다.

5. 유튜브 크리에이터 스튜디오 - 실시간 스트리밍 - 인코더 설정 - 스트림 이름 및 키 확인
*스트림 키가 초기화되면 새롭게 할당된 키를 OBS에 적용해 주어야 합니다.

6. 복사한 스트림키를 붙여넣기 해줍니다.

설정을 하기에 앞서 기본 정보
x264 : 압축률 + 결과물 좋다.
         하지만 CPU 자원을 매우 많이 먹는다.
         방송 시 CPU 소모가 너무 커 피할 수 있다면 피하는게 좋다.

NVENC : 그래픽카드에 있는 인코딩 칩셋 활용.
             Nvidia 그래픽카드 사용시 가능.
             x264 cpu 과부하 -> NVENC 사용.
             x264에 비해 품질이 다소 떨어질 수 있음.

Quick sync(QSV) : cpu 내장 그래픽 사용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NVENC 보다 품질 좋음. (케바케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x264보다 좋은 프레임.

품질 : x264 -> Quick sync -> or = NVENC
성능 : NVENC -> Quick sync -> x264

샘플 레이트 : 마이크와 동일하게 설정
채널 : 스테레오
데스크탑 오디오 : 기본장치
마이크 : 자신이 사용하는 마이크

기본 (캔버스) 해상도 : 내 모니터 해상도와 같이 맞춘다고 생각하면 됨
출력 (조정된) 해상도 : 방송 송출 해상도 (1920 x 1080 = 1080p 송출 , 1280 x 720 = 720p 송출)
축소 필터 : Bilinear(낮은 성능) - Bicubic(중간) - Lanczos(고성능) 성능이 높을수록 화질도 괜찮아지지만 그만큼 사용량을 잡아먹어 렉을 유발할 수 있습니다.
*직접 테스트 후 조절하거나 Bilinear 혹은 Bicubic 먼저 이용해보세요.
공통 FPS : 60

 

7. 본인 PC사양에 맞는 출력, 오디오, 비디오 설정을 해줍니다. 예로 아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
8. 고급설정 프로세스 우선순위 설정 : 높음 
*고급 설정은 OBS를 살짝 공부하고 건드는 게 좋습니다. 

 

반응형